인지심리치료란?
인지심리치료는 통상적인 상담에서 벗어나 인지적인 측면에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 방법이다. 즉, 인지정보(사건,감정,생각 등)를 조사하고 구체적로 탐구하여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둔다. 인지치료는 주로 우울증, 불안장애, 스트레스 장애,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많이 사용된다.
인지심리치료의 절차
-
문제해결 과제에 대한 인지선별
문제해결과제에 대한 인지선별과정에서 인지검사를 시행하므로써, 환자의 인지적 활동, 문제해결 능력, 인지과정의 결함 등을 파악할 수 있다. -
문제해결 전략 교육
문제해결 전략 교육은 1차 전략부터 4차 전략까지 총 4단계로 나누어진다. 1차 전략은 정서적 상태 조절을 하고, 2차 전략은 문제 분석, 3차 전략은 해결방법 마련, 4차 전략은 해결방안의 효과 분석 및 평가를 하는 과정을 말한다. -
문제해결 실습
문제해결 실습단계에서는 실제로 환자가 겪어보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. 환자의 문제 상황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문제해결 전략을 반영하여 새로운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한다.
인지심리치료의 장단점
장점
– 인지적 측면에서 적극적인 대처를 장려한다.
–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켜주어 일상 문제를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.
– 성과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켜 준다.
단점
– 환자의 인지적 활동 수준에 따라서 효과가 다를 수 있다.
– 인지적으로 제한된 환자의 경우,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.
결론
인지심리치료는 인간의 인지적 측면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치료 방법이다.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강조하고, 문제해결 전략을 교육하고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한다. 환자에 따라 효과적인 결과를 거둘 수 있는 점도 좋지만, 환자의 인지적 활동 수준 등에 따라서 효과가 다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.